착하고 충성된 종 [마태복음 25:14-30]
크리스천 CEO 리더십 스쿨을 통해 주님이 나에게 마태복음 25장 14-30절 말씀을 계속 주신다. 이 말씀은 단순히 ‘재능을 잘 활용하라’는 수준을 넘어, 하나님이 우리에게 어떤 마음으로 재능과 자원을 맡기셨는지, 그리고 우리가 어떤 태도로 그것을 감당해야 하는지를 보여준다.
비유 속 주인은 종들에게 각자의 능력에 따라 다섯, 둘, 한 달란트를 맡긴다. 여기서 중요한 건 ‘한 달란트’도 결코 적지 않다는 점이다. 당시 일꾼의 15년치 품삯, 오늘날로 환산하면 5억 원에서 20억 원 이상이 된다. 즉, 하나님은 누구에게나 가볍지 않은, 충분히 크고 귀한 것을 맡기셨다는 뜻이다.
문제는 그걸 쓰지 않는 데 있다. 다섯 달란트와 두 달란트를 받은 종은 그걸 적극적으로 사용해서 열매를 맺는다. 주인은 그들을 “착하고 충성된 종”이라 부른다. 여기서 ‘충성된’이란 말은 영어로 faithful, 즉 믿음(faith)이 가득한(full) 상태를 말한다. 그들은 주인을 믿었다. 자신에게 주어진 달란트가 의미 있는 것이고, 자신이 충분히 해낼 수 있기에 맡기셨다는 것도 믿었다. 그 믿음으로 행동했고, 그래서 열매를 맺을 수 있었다.
반면, 한 달란트를 받은 종은 달랐다. 그는 주인을 믿지 않았다. 주인을 ‘심지 않은 데서 거두는’ 사람이라 오해했고, 자신에게 달란트를 맡긴 이유가 유익이나 기대가 아닌 징계나 시험이라고 받아들였다. 그래서 아무것도 하지 않았다. 주인은 그에게 “악하고 게으른 종”이라 말한다. 게으르기만 해서가 아니라, 주인의 선하심을 왜곡해 받아들이고 의도적으로 외면했기 때문이다.
주인이 열매 맺은 종들에게 덧붙여 하는 말도 인상적이다. “네가 작은 일에 충성하였으매, 많은 것을 네게 맡기리니…” 달란트의 액수를 생각하면 지금 시세로 수억 원에서 수십억 원의 자산을 두 배로 불린 셈이다. 현대 자본주의 시각에서도 엄청난 성과인데 주인은 그것을 ‘작은 일’이라고 표현한다. 하나님께 중요한 건 ‘얼마나 불렸느냐’가 아니다. 그걸 믿고 사용했느냐, 그 태도가 어떤 믿음에서 비롯되었느냐가 중요하다.
요즘 나 자신을 자주 돌아보게 된다. 사업을 한 지 10년이 넘었지만 여전히 “이 길이 내 길이 맞을까?”, “나는 이 역할을 감당할 만한 사람인가?” 하는 질문이 마음을 떠나지 않는다. 때로는 주님께 원망하기도 했고, 버겁고 두려운 마음에 주저앉고 싶을 때도 많았다. 하지만 이 말씀을 통해 주님은 이렇게 말씀하시는 것 같다. “내가 너를 잘 안다. 네 능력도 안다. 그래서 너에게 맞는 달란트를 맡긴 것이다. 너는 그냥 믿고 그것을 사용하면 된다.”
하나님은 우리에게 성과를 요구하시는 분이 아니다. 그분이 진짜 기뻐하시는 건 그분의 선하심을 신뢰하고, 맡기신 것을 믿음으로 반응하는 태도다. 내가 해야하는 것은 선하신 주님을 향한 믿음과 신뢰를 가지고 주신 달란트를 열심히 사용하는 것이다. 그러면 하나님이 “잘하였도다 착하고 충성된 종아 네가 작은 일에 충성하였으메 내가 많은 것으로 네게 맡기리니 네 주인의 즐거움에 참예할지어다”라고 하실것이다. 아멘!